직장인 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 시험일정 / 시험접수 / 합격후기
2020년, 회사에서 자격증 취득을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이 생겼다.
공짜로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으므로 당연히 프로그램을 활용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역시나 회사에서 아무 자격증이나 지원해줄리는 없고, 직무와 관련된 분야만 지원가능하단다.
품질관련해서는 품질경영기사, 6시그마 GB/BB, 정밀측정산업기사 자격증 등을 가지고 있어서
국내자격증 중에서는 추가로 취득할 만한 자격증이 없었다.
그래서 모든 직무에 공통으로 지원해주는 빅데이터에 관한 자격증으로 눈을 돌렸다.
빅데이터 관련하여 어떤 자격증이 좋을까 알아보다가 알게된 "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
후기들을 찾아보니 비전공자들에게도 많이 어렵지 않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시험에서 떨어지면 회사에서 지원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너무 어려운 시험은 안된다...
결국, ADsP에 도전하기로 결정!!!
1. 시험일정
2월 말에 자격증 취득을 계획하고, ADsP 시험일정을 보고 24회 시험을 접수하였지만
코로나 확산으로 인하여 24회차 시험은 연기를 거듭하다 취소 되었고, 결국 6월 6일에 25회차 시험에 응시하게 되었다.
2. 시험접수
ADsP 시험접수는 Kdata 데이터자격검정 사이트 (https://www.dataq.or.kr/) 에서 회원가입 후 접수할 수 있다.
3. 교재 선정
ADsP 교재는 인터넷으로 검색해 본 결과,
합격후기가 많은 데이터에듀의 2019 ADSP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로 구매했다.
핵심정리와 요약이 굉장히 잘 되어있고, 내용 중간중간 QR코드로 기출문제 풀이영상을 제공하고 있어서
내용 이해에 도움이 많이 되었다.
특히 데이터에듀 교재의 합격마법노트와 모의고사부분이 매우 유용했다.
실제 시험에서의 출제빈도는 교재에 포함된 기출문제와 모의고사 부분에서 약 60~70%정도 출제되었던 것 같다.
추가로 시험을 주최하는 한국데이터진흥원(K Data)에서 출판한 "데이터분석 자격검정 실전문제" 라는
교재에서도 많은 문제가 출제되고 있다는 후기가 있어, 과감히 구입하였다. (어차피 돌려받을 거니깐...)
실제로 시험에서 이 교재의 문제들이 많이 출제되었다. (체감상 약 30~40% 정도? 교재와 겹치는 부분 있음)
4. 공부 방법
사실 지금까지 취득한 국가자격증들은 전부 독학이었는데, 이번에는 회사의 지원도 있고하니,
동영상강의라는 것도 한번 시도해보았다. (붙으면 공짜니깐...)
이것 또한, 합격 후기가 많은 데이터에듀의 동강을 수강해보기로 결정했다.
인강은 데이터에듀의 대표강사이신 윤종식 교수님께서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해주신다.
(개인적으론 1.5배속 재생이 최적화인듯...)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수학과 통계에 생소한 분들은
3과목 데이터분석 파트의 동영상강의를 들으면 진도 나가는데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다.
평일은 전철과 버스에서 출퇴근 시간을 활용하여 하루 약 1시간 정도씩 꾸준히 교재를 정독했고,
시험 2주전부터 주말에 집앞 카페에서 2시간씩 모의고사를 풀었다.
마지막 시험 전날에는 모의고사와 기출문제에서 틀린문제만 반복적으로 다시 풀어보며 오답노트를 간단히 정리했다.
5. 시험 후기
교재를 2월말에 구입하여 4월 4일에 예정된 24회차 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 시험을 접수하였지만,
코로나로 인해 일정이 취소되었고
결국 6월 7일 일요일에 25회 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 시험을 서울 경기고등학교 학생동 시험장에서 보았다.
시험시간은 90분(1시간30분)으로 객관식 40문항, 주관식 10문항으로 총 50문항이 출제되며,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다.
ADsP의 시험비용은 50,000원으로, 필기시험을 합격하면 별도의 실기시험없이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데이터자격시험 관련 자세한 사항은 Kdata 데이터자격검정 사이트(https://www.dataq.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사장에 시험 1시간 전에 도착해서 발열체크하고 자리에 앉아 교재 오답노트 한번 보고 시험을 시작했다.
시험은 10시에서 11시 반까지 진행하며, 10시 30분부터 고사장에서 나갈 수 있다.
시험문제는 데이터에듀 교재의 기출문제와 모의고사에서 약 60~70% 정도 출제되는 것 같으며,
나머지는 기출문제 변형과 전혀 새로운 유형의 문제들이 출제되는 것 같다.
6. 나의 생각
솔직히 말하면, 데이터에듀 교재의 모의고사와 기출문제로 한달정도만 공부하면
비전공자라 하여도 60점 이상으로 합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시험이라는게 매회차 난이도 편차가 있으니
안정적으로 합격하려면 점수비중이 높은 3과목 데이터분석 파트의 연관된 통계는
어느정도 내용을 이해하며 공부 해야 할 것 같다는 것이 나의 개인적인 생각이다.
ADsP 시험은 100점 만점에 총점 60점 이상, 과목별 40점 미만 과락이 없으면 합격이다.
과거 품질경영기사와 6시그마를 공부하면서 쌓은 통계에 대한 지식이 있었음에도
3과목이 새롭게 공부한 1,2과목과 획득점수가 동일수준이다.
어느 분 후기를 보면 1,2과목만 달달 외워서 조지면 된다고 하던데,
3과목 비중이 워낙 큰데다가 1, 2과목도 신규 문제는 틀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통계부분을 중점적으로 공부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다음에는 데이터분석 전문가(ADP) 필기시험 후기를 포스팅할 계획이다.
댓글